본문 바로가기

경제 & 부동산

🌍 미국 상호 관세, 발표 후 즉시 발효! 그러나 시장 불확실성은 더 커졌다

#미국 상호 관세 발표 직후 글로벌 금융시장 반응 정리

– 즉시 발효된 관세 조치, 시장은 해소보다 혼란으로…

안녕하세요 G 군입니다:)

2025년 4월 2일(현지시각), 백악관은 예고한 대로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전격 발표하고 즉시 발효에 들어갔습니다.

미국은 수입 소비용품에 대해 최대 25%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며, 3일부터 실제 징수에 들어갑니다.

문제는 관세의 구체적 적용 대상과 국가별 조정 방식이 명확히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.

시장에서는 관세 발표 이후 오히려 불확실성 해소보다는 혼란이 더 커졌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


🧩 왜 시장은 반등보다 '불안'에 무게를 둘까?

  • 일부 언론은 미국이 15~25% 수준의 보복성 관세를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.

  • 그러나 어느 국가에, 어떤 품목이 적용되는지는 여전히 '안갯속'입니다.

  • HSBC 등 주요 금융기관은 “발표 이후에도 세부 내용 부재와 협상 가능성으로 시장은 여전히 신중한 자세를 취할 것”이라고 밝혔습니다.

📉 시장 반응 요약: 증시는 단기 반등, 환율·금리·CDS는 신중 모드

항목
전일 대비 변화
분석
🇺🇸 미국 S&P 500
+0.38%
관세 강도가 예상보다 낮았다는 안도감
🇰🇷 한국 코스피
+1.62%
외국인 수급 유입, 기술주 반등
💵 달러지수
+0.05%
관망 속 소폭 강세
💲 원/달러 환율
+0.14% 상승
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원화 약세
🏦 한국 CDS
38bp → 37bp
외국인 투자심리 소폭 개선
🧯 VIX (변동성 지수)
-2.29% 하락
초반 충격은 반영, 단기 진정

🌐 주요국 반응 정리

🔹 EU 집행위는 “협상을 통한 해결을 선호하지만, 필요시 내부 장벽 제거와 보복 조치 가능” 경고

🔹 중국은 “공정 경쟁 조건을 강조하며, 자국 내 내수 강화와 수출 확대를 병행 추진”

🔹 ECB는 “서비스 부문 인플레이션 둔화로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여전”이라고 밝혀

🔹 호주 중앙은행은 “4.10% 금리 동결…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 고려해 신중한 스탠스 유지”


📌 해외시각 요약: 미국 관세, 세계 경제에 미칠 여파

🗞️ 블룸버그

“상호 관세는 17% 관세부터 시작해 25%까지 확대될 수 있다. 협상이 본격화될 경우, 장기전 우려 커져”

🗞️ WSJ

“경기 침체 우려가 다시 확대되고 있다. 소비심리와 기업 매출 감소가 동시에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 못 해”

🗞️ 파이낸셜타임스

“이번 관세로 아시아 자동차 산업이 최대 피해를 입을 수 있다. 특히 한국·일본 제조업 타격 전망”


🧭 향후 일정 캘린더

일정
이벤트
비고
4/3(수)
美 자동차 관세 세부안 발표
수입 자동차 관세율 25% 가능성
4/4(목)
美 3월 고용지표 발표
실업률, 평균임금 등 향방 주목
4/4~4/5
EU-미국 관세 대응 조율 회의
대응 조치 및 협상 루트 결정 가능성
4월 내
ECB 기준금리 관련 발표
유로존 경기 둔화 대응 가능성

✅ 한 줄 정리

“관세는 발효됐지만, 불확실성은 오히려 커졌다.

글로벌 시장은 현재 ‘진정한 불확실성의 시대’를 지나고 있다.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