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 G 군입니다:)
2025년 3월 넷째 주, 전국 아파트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습니다.
매매가격은 다시 소폭 하락 전환됐고, 전세가격은 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
강남·용산 등 핵심 지역의 거래량은 여전히 견조하나, 관망세 확산으로 상승폭은 줄어드는 모습입니다.

📉 전국 매매가격 -0.01% 하락…서울은 상승폭 축소
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5년 3월 24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.01% 하락했습니다.
수도권(0.03%)과 서울(0.11%)은 상승세를 유지했으나, 상승폭은 눈에 띄게 둔화됐습니다.
📍 지역별 매매 변동률 요약:
지역
|
변동률(%)
|
전국
|
-0.01
|
수도권
|
+0.03
|
서울
|
+0.11
|
인천
|
-0.07
|
경기
|
0.00
|
지방
|
-0.04
|
세종
|
-0.02
|
대구
|
-0.13
|
서울 강북권(성동·마포 등)과 강남권(개포·양천 등) 주요 재건축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졌으나, 대체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은 감소했습니다.
반면 인천은 미추홀구(역세권 개발 호재 제외) 등 일부 지역의 거래 부진으로 하락세가 확대되었습니다.
🏘 전세가격은 +0.02% 상승…서울 +0.06%, 수도권 +0.04%
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보다 0.02% 상승하며 6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.
수도권과 서울이 견조한 상승 흐름을 유지하고 있지만, 상승폭은 전주 대비 소폭 축소되었습니다.
📍 전세가격 지역별 변화
지역
|
변동률(%)
|
전국
|
+0.02
|
서울
|
+0.06
|
경기
|
+0.04
|
인천
|
0.00
|
부산
|
+0.03
|
대구
|
-0.06
|
제주
|
-0.06
|
서울은 송파, 강동, 영등포 등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전셋값이 오르면서 강남권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.
하지만 입주물량이 영향을 주는 지역에서는 전세가격 상승폭이 제한적이었습니다. 대구, 제주, 대전 등 지방 주요 도시는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.
🗺 지역별 아파트 시장 요약 맵
- 서울: 매매·전세 모두 상승세 지속
- 경기: 매매 보합 / 전세 완만한 상승
- 인천: 매매 하락 전환 / 전세 보합
- 대구·제주: 매매·전세 동반 하락
- 세종: 전세 반등 / 매매 하락 지속
🔍 시장 해석과 향후 전망
✅ 매매시장
- 고금리 영향에도 불구하고 서울 핵심 지역의 실거주 및 투자 수요는 여전히 유효
- 다만, 전반적인 관망세 확대로 상승세는 다소 둔화되고 있음
- 지방 시장은 거래량 부족과 매물 적체로 하락세가 더 지속될 가능성
✅ 전세시장
- 학군 및 교통 인프라 중심 지역은 전세 수요 유입 지속
- 서울·경기 일부 지역은 전세 계약 갱신 주기 도래로 인해 상승세 유지
- 지방은 입주물량 부담으로 하방 압력이 높음
📌 한 줄 요약
“서울은 상승세 이어가지만 전체 시장은 속도 조절 중… 전세는 수도권 중심으로 안정적 상승 흐름”

'경제 &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🌍 보편 관세와 상호 관세의 차이, 그리고 미국의 관세 전쟁 이야기 (1) | 2025.04.03 |
---|---|
🌍 미국 상호 관세, 발표 후 즉시 발효! 그러나 시장 불확실성은 더 커졌다 (2) | 2025.04.03 |
🌐 2025년 3월 마지막 주, 무역 전쟁과 경제 불확실성 속, 세계 금융의 방향성은? (2) | 2025.03.31 |
📉 커지는 예대금리차, 부동산 시장엔 어떤 신호일까? (1) | 2025.03.30 |
📊 2025년 3월 넷째 주, 국제 금융시장 이슈 요약 & 시사점 (0) | 2025.03.25 |
📈 2025년 금값 상승의 이유와 금 재테크 실전 가이드 (6) | 2025.03.24 |
강남 오피스텔·빌라 신고가 속출…서울 부동산, 어디까지 오를까? (2) | 2025.03.23 |
📉 국제 유가는 내리는데, 왜 국내 기름값은 여전히 비쌀까? (3) | 2025.03.22 |